AnalyzerTF로 TFLite 처리한 결과값을 반환받아 처리하였다.

result 값으로 accuracy와 버섯 인덱스를 받아 accuracy가 60프로가 안되는 값은 LOW_ACCURACY_ERROR 코드와 함께 실패값을 반환하고 있으며 accuracy가 60퍼 이상인 경우 서버에서 index에 해당하는 버섯의 정보를 받아온다.

이 때도 역시 IOException을 포함한 Exception 처리를 통해 UI 단에서 버섯 구분 분석 요청의 실패요인에 따라 각기 다른 UI 처리를 가능하게 했다.

Retrofit 통신 과정에서 Exception을 구분하여 에러 이유에 따른 예외처리를 구분하였다.

IOException ( 네트워크 통신 문제 )

HttpException ( 통신 결과 응답 코드 오류 -> 404 Not Found , 500 Internal Server Error 등...) 

등을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었으나, HttpException의 경우는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우선 필요한 응답유형을 구분한다. 현재 예시로 든 코드는 로그인 / 닉네임 변경 등의 결과를 반환하는 코드로 모두 성공 / 실패만 반환하면 되기 때문에  모든 응답에서 필요로 하는 success, code를 포함하여 부가적인 message만 받아오도록 SuccessResponseDomain을 지정해줬다.

 

 

이후 repository 단에서 서버와의 응답 결과를 받아와 Error 유형에 따라 SuccessResponseDomain에 코드를 담아 ViewModel 의 LiveData로 넘긴다.

 

ViewModel단에서는 단순히 UI단에서 요청한 도메인의 타입에 따라 repository 단에서 역할을 수행하고, 반환 결과를 response 라이브 데이터에 담기만 하면 된다.

 

 

response livedata의 observer 의 일부 코드

이후 UI단인 Activity에서는 livedata에 observer를 정의, 등록하여 response 타입을 통해 요청 유형을 구분하고, success / code를 구분하여 UI 단에서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다.

 

해당 코드는 편의를 위해 하드코딩하였다.

 

 

 


추가적으로 패스워드 전송 시에는 패스워드가 통신에서 평문으로 전송되는 것을 지양해야 하기에 sha256을 적용하여 해쉬된 값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문제 상황

/**
 *  Repository 단에서
 *  UserRequestDTO의 형식을 검증하여 service단으로 넘김
 *
 *
 *  Fragment
 *                      UserRequest / UserResponse
 *  ViewModel
 *                      UserRequestDTO / UserRequestDTO
 *  Repository
 *                      (LoginRequestDTO , RegisterRequestDTO, ... ) / ( LoginResponseDTO, RegisterRequest, ...)
 *  Service
 *  **/

 

이전 글에서 해당 주석처럼 데이터 모델을 수립했었다.

근데 다른 Repository에서 같은 형식의 데이터 모델을 적용시켜보려고 하자 문제가 생겼다.

각각의 UseCase별로 Repository를 생성하였는데 각 UseCase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 모델은 다른데 Service단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모델은 바뀌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Service단에서 특정 유저 정보를 가져오는 데이터의 반환값을  LoginRequestDTO로 가져오게 되면 다른 Repository에서는 그 데이터의 사용이 힘들다는 점이다. Domain 계층의 필요성을 직접 깨달을 수 있었다.

 

 

 

해결 방안

Service단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트랜잭션에 대한 반환값과 요구값을 DTO로 정해두고,
Domain단에서는 각 UseCase별로 필요한 데이터 형식을 수립해놓을 것이다.
Repository(Data단) 에서 Service에 접근할 때 (DTO -> Domain) 으로 형식을 반환하여
ViewModel / Fragment  (UI단)으로 넘기면 해당 Domain 형식을 가지고 Ui에 결과값을 반환하는 것이다.

 

이전 방식은 ViewModel 단에서 추가적인 디캡슐화/캡슐화를 진행하여 로직을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결국 service 단에서 해당 로직을 구분하면 될 것으로 판단되어 굳이 viewModel 단에 추가적인 데이터모델을 수립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예를 들어 포스트, 댓글, 유저의 id값을 통해 삭제를 진행할 수 있는 api가 각각 따로 존재한다면

DomainModel에는 enum값을 포스트 / 댓글 / 유저를 구분하여 repository로 넘겨주면

repository단에서 각각을 구분하여 service에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각각의 UseCase별로 필요한 요청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
 *  Fragment												Fragment
 *  ViewModel												ViewModel
 *                      
 *  UserRepository											PostRepository
 *  [UserRequest/UserResponse]       							[PostRequest/PostResponse]
 * 						
 *							UserService
 *					   [UserRequestDTO / UserRequestDTO]				
 * 								
 *  **/

 

 


 

느낀점 ( 진행 도중 )

 

 

 파이어베이스 위주가 아닌 제대로된 백엔드와의 협업은 처음이라 기본적인 서버 통신 과정에 대해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특히 단순히 UI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했던 데이터들과 서버에 통신을 위한 모델을 어떻게 연결해야할지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에 진행하였던 부분에서는 서버와의 통신을 배제한 상태에서 진행하다보니 UseCase별 필요한 요청과 응답 부분을 생각하지 않고 진행했던 것이 현재 시점에서 많은 수정을 필요로 하는 어려움을 가져다 준 게 아닐까 되돌아본다.

 

 api가 다 나와있는 시점에서 개발에 들어갔다면 api별로 dto형식을 지정해 변환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이 바로 Repository단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올려 보내면 될 일이지만,  명확한 반환값이 정해지지 않은 현재 시점에서 개발 일정에 맞추기 위해 다른 부분들을 마무리 해야하는 점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아직 진행되지 않은 부분을 완료되었다고 가정한 interface를 사용하여 이후 개발이 완료된 후에는 해당 부분만 채워두면 동작이 되도록 진행하려고 많이 노력하였고, 해당 과정에서 많은 배움을 얻을 수 있었다.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PM 역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몸소 느끼고 있다. 개발 일정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프로젝트 범위가 커지다 보니 전체 일정의 진행도를 파악하기가 너무 힘들었고, 설계 과정이 부족했던 탓인지 개발 도중 누락된 개발사항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따.

 프로젝트를 열심히 해도 영 진행되지 않는 모습에 답답하기도 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지만, 최대한 Git Issue를 통해 각 프래그먼트 별로 필요한 부분을 적고 진행도를 체크함으로써 일정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Repository 단에서
 *  UserRequestDTO의 형식을 검증하여 service단으로 넘김
 *
 *
 *  Fragment
 *                      UserRequest / UserResponse
 *  ViewModel
 *                      UserRequestDTO / UserRequestDTO
 *  Repository
 *                      (LoginRequestDTO , RegisterRequestDTO, ... ) / ( LoginResponseDTO, RegisterRequest, ...)
 *  Service
 *  **/

 

 

코드의 통일성을 위해서 앱 아키텍처에 따른 각 계층구조에서 사용할 모델을 정리해 보았다.

 

Fragment에서는 각각의 요청 (로그인 / 회원가입 / 아이디 찾기 / 비밀번호 찾기)에 대해 각각의 DTO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ViewModel에 UserRequest 클래스로 요청한다.

            loginViewModel.request(
                UserRequest.Login(
                    LoginRequestDTO(
                        email =    binding.username.text.toString(),
                        password = binding.password.text.toString()
                    )
                )
            )
            
            
            
            
    /** 
    /* 현재 코드는 각 상황별로 직접 UserRequest(UserRequestDTO())로 요청하도록 되어있지만 
    /* 서버에 요청하는 코드를 UserRequestDTO 형식을 받는 함수로 따로 만들어
    /* 해당 함수에서 UserRequestDTO의 형식을 구분하여 UserResponse에 담아 viewModel에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 요청하는 부분에서는 단순히 해당 코드를 각각의 DTO에 담아서 요청할 수 있도록 만든다면 가독성측면과 직관성을 보완 할 수 있을 것 같다.
    **/

 

형식을 통해 ViewModel에게 데이터를 요청하고

 

class LoginActivity{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loginViewModel.response.observe(this, ::responseObserver )
    }



	private fun responseObserver(response : UserResponse){
        if( loading.isShowing )
            loading.dismissWithAnimation()
            
        when(response){
            is UserResponse.Login ->{
                val dto = response.dto
                if(dto.success){
                	//로그인 성공 시 결과값 표시
                }
            }
            is UserResponse.FindIdPw ->{
                val dto = response.dto
                if(dto.success)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성공 시 결과값 표시
                }

            }
            is UserResponse.Register ->{
                val dto = response.dto
                if(dto.success) {
                    //회원가입 성공 시 결과값 표시
                }
            }
        }
    }
}

ViewModel에서는 reqeust함수로 들어오는 UserRequest의 타입에 따른 요청을 

repository에 UserRequestDTO 형식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UserRequestDTO형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dto =  requestType.dto로 미리 정의하여

_resposne.value = repository.해당함수(dto)와 같이 코드를 통일성있고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었다.

class LoginViewModel : ViewModel() {
    val _response = MutableLiveData<UserResponse>()
    val response : LiveData<UserResponse> = _response
    val request : (UserRequest) -> Unit

    init {
        request = { requestType ->
            val dto = requestType.dto
            viewModelScope.launch {
                when(requestType){
                    //로그인
                    is UserRequest.Login -> {
                        if ((isUserNameValid(requestType.dto.email) && isPasswordValid(requestType.dto.password))) {
                            _response.value = repository.login(dto)
                        }
                    }
                    //회원가입
                    is UserRequest.Register -> {
                        _response.value =  repository.register(dto)
                    }
                    //아이디찾기
                    is UserRequest.FindPW -> {
                        _response.value = repository.findID(dto)
                    };
                    //비밀번호찾기
                    is UserRequest.FindID -> {
                        _response.value = repository.findPW(dto)
                    };
                }
            }

        }
    }
}

sealed class UserRequest() {
    abstract val dto: UserRequestDTO
    data class Login(override val dto : LoginRequestDTO) : UserRequest()
    data class FindPW(override val dto : FindPwRequestDTO) : UserRequest()
    data class FindID(override val dto : FindIdRequestDTO) : UserRequest()
    data class Register(override val dto : RegisterRequestDTO) : UserRequest()
}

sealed class UserResponse{
    abstract val dto : UserResponseDTO
    data class Login(override val dto : LoginResponseDTO) : UserResponse()
    data class FindIdPw(override val dto : FindResponseDTO) : UserResponse()
    data class Register(override val dto : SuccessResponse) : UserResponse()
}

 

다음은 UI 처리 부분이다. Activity는 onCreate에서 response LiveData를 observing하게 한다.

해당 observer에서는 response의 타입을 기준으로 UI에 반영하는 부분만 처리하면 된다.

fun 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Impl()

interface UserRepository {
    suspend fun login(dto : UserRequestDTO) : UserResponse
    suspend fun register(dto : UserRequestDTO) : UserResponse
    suspend fun findID(dto : UserRequestDTO) : UserResponse
    suspend fun findPW(dto : UserRequestDTO) : UserResponse
}

private class UserRepositoryImpl: UserRepository {
    @Inject
    private lateinit var backend : UserService
    
    
    override suspend fun login(dto: UserRequestDTO): UserResponse {
        return withContext(Dispatchers.IO){
				//처리코드
			}
            UserResponse.Login(responseDTO)
        }
    }
    override suspend fun register(dto: UserRequestDTO): UserResponse {
        return withContext(Dispatchers.IO) {
            //처리코드
            UserResponse.Register(responseDTO)
        }
    }
    override suspend fun findID(dto: UserRequestDTO): UserResponse {
        return withContext(Dispatchers.IO){
            //처리코드
	        UserResponse.FindIdPw(responseDTO)
        }
    }
    override suspend fun findPW(dto: UserRequestDTO): UserResponse {
        return withContext(Dispatchers.IO){
            //처리코드
            UserResponse.FindIdPw(responseDTO)
        }
    }

 

처음에 작성했던 코드는 다음과 같다.

class LoginViewModel : ViewModel() {

    private val _loginResult = MutableLiveData<LoginResult>()               //로그인
    val loginResult: LiveData<LoginResult> = _loginResult   
    private val _registerResult = MutableLiveData<LoginResult>()            //회원가입
    val registerResult: LiveData<LoginResult> = _registerResult
    private val _findIDinResult = MutableLiveData<LoginResult>()
    val findIDinResult: LiveData<LoginResult> = _findIDinResult             //ID찾기
    private val _findPWResult = MutableLiveData<LoginResult>()
    val findPWResult: LiveData<LoginResult> = _findPWResult                 //PW찾기



    fun requestFindID(){
        if(TODO("아이디찾기")){
            _findIDinResult.value = LoginResult(true)
        } else {
            _findIDinResult.value = LoginResult(false)
        }
    }
    fun requestFindPW(){
        if(TODO("비밀번호찾기")){
            _findPWResult.value = LoginResult(true)
        } else {
            _findPWResult.value = LoginResult(false)
        }

    }
    fun requestCheckNickname(nickname: String){
        if(TODO("회원가입")){
            _registerResult.value = LoginResult(true)
        } else {
            _registerResult.value = LoginResult(false)
        }
    }
    fun requestRegister(request : RegisterRequest){
        if(TODO("회원가입")){
            _registerResult.value = LoginResult(true)
        } else {
            _registerResult.value = LoginResult(false)
        }
    }



    fun login(username: String, password: String, autoLogin : Boolean = false) {
        if (isUserNameValid(username) && isPasswordValid(password)) {
            //로그인 검증 과정생략
            _loginResult.value = LoginResult(true)
        } else {
            _loginResult.value = LoginResult(false)
        }
    }



}

 

 

LoginActivity에서 사용하는 LoginViewModel에서

    1. 로그인

    2. 회원가입

    3. 아이디 찾기

    4. 비밀번호 찾기

 

4가지 요청에 대해 서버에서 검증 결과를 받아와야 하는데

Observer 패턴을 사용하여 결과값이 넘어오는 과정을 보기 위해서 총 4개의 LiveData를 제작했었다.

 

연관된 행동(하나의 액티비티에서 들어온 요청에 대한 검증)이 각각 따로 적혀 있어 난잡해 보인다.

 

class LoginViewModel : ViewModel() {
    private val repository = UserRepository()

    val _response = MutableLiveData<LoginResponse>()
    val response : LiveData<LoginResponse> = _response
    val request : (LoginRequest) -> Unit

    init {
        request = { requestType ->
            val dto = requestType.dto
            viewModelScope.launch {
                when(requestType){
                    //로그인
                    is LoginRequest.Login -> {
                        if ((isUserNameValid(requestType.dto.email) && isPasswordValid(requestType.dto.password))) {
                            _response.value = LoginResponse.Login(repository.login(dto))
                        }
                    }
                    //회원가입
                    is LoginRequest.Register -> {
                        _response.value = LoginResponse.Register( repository.register(dto))
                    }
                    //아이디찾기
                    is LoginRequest.FindPW -> {
                        _response.value = LoginResponse.FindIdPw(repository.findID(dto))
                    };
                    //비밀번호찾기
                    is LoginRequest.FindID -> {
                        _response.value = LoginResponse.FindIdPw( repository.findPW(dto) )
                    };
                }
            }

        }
    }
}

sealed class LoginRequest() {
    abstract val dto: UserRequestDTO
    data class Login(override val dto : LoginRequestDTO) : LoginRequest()
    data class FindPW(override val dto : FindPwRequestDTO) : LoginRequest()
    data class FindID(override val dto : FindIdRequestDTO) : LoginRequest()
    data class Register(override val dto : RegisterRequestDTO) : LoginRequest()
}

sealed class LoginResponse{
    abstract val dto : UserResponseDTO
    data class Login(override val dto : LoginResponseDTO) : LoginResponse()
    data class FindIdPw(override val dto : FindResponseDTO) : LoginResponse()
    data class Register(override val dto : SuccessResponse) : LoginResponse()

 

우선 Activity에서 요구할 수 있는 Request들을 각각 Data Class로 생성하여 LoginRequest로 묶어줬다.

request와 response의 종류가 sealed class로 묶여져 있어 한눈에 파악이 가능했으며,

어떤 요청을 수행하든 결과를 response 라이브 데이터에 LoginResponse 클래스로 넣게 되면, 해당 값을 Observe하는 Activity Component에서 해당 결과에 대한 타입을 구분하여 UI에 반영해 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요구에 대해 Repository 단에서 필요로 하는 양식들을 UserResponseDTO, UserRequestDTO로 묶어 선언해 줌으로써 OCP 개념을 준수하기 위해 노력했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이름검색'과 같은 요청이 필요하다 싶으면 , UserRequestDTO와 LoginRequest에만 해당 항목을 추가하면 되므로 기존에 구현된 항목에 대한 수정을 불필요하게 된다.

 


android/codelab-biometric-login (github.com)

 

GitHub - android/codelab-biometric-login

Contribute to android/codelab-biometric-logi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지문인증과 관련된 code-lab인데 해당 코드에서는 제외하였지만, 로그인 구현 과정에서 많이 참고하였다.

청초호, 속초
청초호, 속초
청초호, 속초
청초호, 속초
청초호, 속초
등대해수욕장, 속초
등대해수욕장, 속초
등대해수욕장, 속초
등대해수욕장, 속초
등대해수욕장, 속초
등대해수욕장, 속초
속초해수욕장, 속초
속초해수욕장, 속초
영랑호, 속초

속초 터미널

'Pictur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  (0) 2023.08.04

 

 

ListAdapter와 RecyclerView의 UI Update 방식의 차이

 

촬영 버튼을 통해 사진을 촬영하고, RecyclerView를 통해 촬영된 사진을 관리하는 어댑터를 필요로 했다.

 

처음에는 촬영버튼을 눌렀을 때, 사진을 저장하고 RecyclerView를 통해 저장된 사진의 path를 건넨 뒤, 어댑터를 통해 삭제요청이 들어오면 path의 이미지를 지우는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이렇게 되면 데이터 변경에 대한 notify()를 직접 수행해주면서 UI 업데이트를 해 줘야 한다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반면, ListAdapter와 DiffiCallback을 구현하게 되면 리스트를 Viewmodel차원에서 관리하며 옵저버 패턴을 통해 submitList로 리스트를 넘겨주면 자동으로 UI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외에도 추가적으로고 path를 통해 저장하는 기존 방식은 불필요하게 빈번한 저장/삭제가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었기에,

 Bitmap을 통해 이미지를 관리하다가 최종 선택 시, 한번에 bitmap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고자 했다.

 

 

ViewModel에서 관리될 BitmapList

private val _capturedImages: MutableLiveData<ArrayList<Bitmap>> = MutableLiveData(arrayListOf())

    val capturedImages : LiveData<ArrayList<Bitmap>>
        get() = _capturedImages

 

본 프래그먼트

        cameraViewModel.capturedImages.observe(viewLifecycleOwner) { itemList ->
            picturesAdapter.submitList(itemList)
        }

 

근데 해당 방식을 수행하는데 데이터 변경에 대한 실행 (submitList) 코드는 실행이 되는데 UI에 반영이 안되는 것이다.

 

        cameraViewModel.capturedImages.observe(viewLifecycleOwner) { itemList ->
            picturesAdapter.submitList(itemList)
            binding.adapter = picturesAdapter
        }

 

어댑터를 다시 설정해 주어야만 데이터가 표시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좀 찾다보니 해당 글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디버깅 방식이 유사하여 웃음이 나왔다.

 

  Log.wtf("WTF", movieList.size.toString())

 

 

android - ListAdapter submitList not updating - Stack Overflow

 

ListAdapter submitList not updating

I have this issue with the pagination infinite scroll in RecyclerView, I am adding all new item using .addAll() movieList.addAll(it.movieList) adapter.submitList(movieList) Log.wtf("WTF&quo...

stackoverflow.com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ListAdapter의 경우에는 old list와 new list의 내용을 DiffiCallback을 통해 비교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mutable list를 사용할 경우 이전 목록에 해당하는 (old list) 리스트가 없기 때문에 차이를 감지할 수 없다는 것.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cameraViewModel.capturedImages.observe(viewLifecycleOwner) { itemList ->
            picturesAdapter.submitList(itemList.toList())
        }

결국 핵심은 바뀌는 리스트를 넘겨주는 것이 나타내고 싶은 상태가 고정된 리스트 (toList로 새 리스트에 복사)로 전달하는 것이 핵심이다.

 

submitList(itemList.toList())

 

 


추가적으로 LiveData를 다루는 데 있어

단순 _capturedImages.value!!.add(image)와 같이 MutableLiveData의 value인 ArrayList에 add/remove를 통해 수정/삭제하여 옵저버 패턴이 반응하기를 기대했었는데 value 자체가 바뀐 것이 아니라 반응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setValue(value)를 재설정하는 것으로 수정하였다.

val currentList = _capturedImages.value ?: arrayListOf()
bitmap?.let { currentList.add(0, it) }
_capturedImages.value = currentList

기존의 코드

 

1. HistoryPicturesAdapter : RecyclerView Adapter

    override fun onCreateViewHolder(parent: ViewGroup, viewType: Int): HistoryPicturesViewHolder {
        itemBinding = ItemHistoryPicturesBinding.inflate(LayoutInflater.from(parent.context))
        return HistoryPicturesViewHolder(itemBinding)
    }

 

 

2. RecyclerView가 포함된 main화면 xml

    <androidx.recyclerview.widget.RecyclerView
        android:id="@+id/myMushHistory"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pp:layoutManager="androidx.recyclerview.widget.LinearLayoutManager"
        android:orientation="horizontal"
        tools:listitem="@layout/item_history_pictures"
        >
    </androidx.recyclerview.widget.RecyclerView>

 

 

3. item_history_pictures (리사이클러 뷰 아이템 )

<FrameLayout
        android:layout_width="100dp"
        android:layout_height="100dp"
		...
        >
        <ImageView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
            />
        <TextView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
            />
    </FrameLayout>

 

구현하고자 한 디자인

구현하고자 한 디자인이다.

3(아이템)에서 FragmentLayout의 width와 height를 100dp로 고정하여 RecyclerView에 100dp(20dp 패딩)의 정사각형 이미지가 들어가게 만들고자 하였다.

 

 

실제 구동 시 화면

하지만 실제 구동 화면에서는 예상과는 다르게 고정되지 않은 직사각형의 화면 (wrap_content로 보임) 이 보인다.

이전에도 이런 상황이 있었는데, 원인은 viewholder의 LayoutInflater에 있었다.

 

 

 

 

 

 


 

LayoutInflater

LayoutInflater Docs

 

 

 

 

 

여기서 root의 LayoutParams를 제공한다는 말이 이해가 잘 가지 않았다.

'내 코드에서 FrameLayout의 width와 height가 이미 100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내부에서 match_parent를 사용한 TextView와 ImageView의 크기가 왜 100dp로 고정이 안되는 것일까'

 

이는 LayoutParams의 계층 구조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부터 생긴 문제였다.

 

 

 

 

ViewGroup.LayoutParams

레이아웃 Docs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위 뷰 그룹이 각 하위 뷰의 레이아웃 매개변수를 정의합니다(하위 뷰 그룹 포함).

 

 

 

 

 LayoutParams가 xml상에서는 View에 속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상위 ViewGroup의 LayoutParams에 정의된다는 것을 이해하면 앞서 본 설명이 이해가 된다.

FrameLayout(예제 xml 상 루트)의 LayoutParams가 부모에 속해 있어 전달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예로 다음과 같은 코드는 기대와 같이 실행됨을 확인가능했다.

 

예제2

 

<?xml version="1.0" encoding="utf-8"?>
<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
    <data>
		...
    </data>
    <FrameLayout
        android:layout_height="0dp"
        android:layout_width="0dp"
        >
        <FrameLayout
            android:layout_width="100dp"
            android:layout_height="100dp"
            android:padding="10dp"
            >
            <ImageView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
                />
            <TextView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
                />
        </FrameLayout>
    </FrameLayout>
</layout>

 

해당 코드는 루트로 껍데기뿐인 프레임레이아웃을 하나 더 감싼 예제로 width와 height를 0dp로 설정한 모습이다.

동일하게 Binding.inflate(LayoutInflater.from(parent.context))으로 inflate 하면, root의 LayoutParams는 전달되지 않아 원래 기대한 뷰의 모습이 실행되는 것이 확인가능했다.

 

 

 

예제2 구동화면

 

예제2 코드는 LayoutParam의 계층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코드로

LayoutInflater.from(context).inflate(R.layout.layout_to_load, parent, false);

를 사용할 시 root의 LayoutParams가 제공되기에 앞선 예제2 코드와 같이 짤 필요는 없다.

 

 

 

 

추가적으로, attachRoot의 경우 true를 하면 inflate와 동시에 parent의 계층 구조에 속하게 되므로, viewholder에는 적합하지 않다. ( 해당 링크의 예시 코드를 보면 inflate 후 addView를 하여 뷰를 추가하는 것이 확인가능하며, attachRoot = ture인 경우 addView가 필요없음을 확인가능하다. )

 

 


 

 

 

수정된 1 어댑터 ( + 기존 Adapter Item XML )

    override fun onCreateViewHolder(parent: ViewGroup, viewType: Int): HistoryPicturesViewHolder {
        itemBinding = ItemHistoryPicturesBinding.inflate(LayoutInflater.from(parent.context), parent, false)
        return HistoryPicturesViewHolder(itemBinding)
    }

-> LayoutInflater.from(context).inflate(R.layout.layout_to_load, parent, false);

 

 

 

 

 

수정 후 구동화면

 

 

 

 


 

 

android - Why does LayoutInflater ignore the layout_width and layout_height layout parameters I've specified? - Stack Overflow

 

Why does LayoutInflater ignore the layout_width and layout_height layout parameters I've specified?

I've had severe trouble getting LayoutInflater to work as expected, and so did other people: How to use layoutinflator to add views at runtime?. Why does LayoutInflater ignore the layout parameter...

stackoverflow.com

 

 

 

레이아웃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레이아웃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레이아웃은 활동 또는 앱 위젯의 UI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구조를 정의합니다. 두 가지 방법으로 레이아웃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Android 프레임워크를 통해 이 두 가지 메서드의 하

developer.android.com

LayoutInflater  |  Android Developers

 

LayoutInflater  |  Android Developers

 

developer.android.com

+ Recent posts